꺼먹이'란
'검은 연기를 먹여서 구웠다'는 뜻으로 도자기 소성 시에 강제로 연기를 먹여서 기물을 까맣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꺼먹이 그릇으로는 삼국시대의 토기를 비롯하여, 물독, 질밥통, 떡시루, 화로, 장군 등이 있다
도자기를 굽는 과정에서 원하는 온도만큼 불을 때면서 막바지에 생 솔가지 등 연기가 많이 날 수 있는 연료를 아궁이에 넣는다.
그리고 급히 굴뚝과 아궁이를 막으면 연료가 불완전 연소되면서 그을음(탄소)이 발생한다.
이 그을음이 기물의 미세한 기공에 스며들어 기물이 짙은 회색이나 검정색이 된다.
이러한 방법은 약 800℃의 낮은 질그릇부터 1,200℃ 이상의 고온소성까지 모두 이용된다.
꺼먹이 소성 기물의 기능
방수, 정화기능
꺼먹이 질그릇의 경우에는 살균력까지 갖추고 있어 장독에 숯을 넣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회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